비트코인 거래, 업비트만 알고 있었다면? 국내외 거래소 총정리

 나는 은퇴를 배당주와 ETF로 준비하고 있는 투자자예요.

특히 S&P500에는 아주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죠. 그런데 그 다음으로, 완전히 똑같진 않지만 꽤 진지하게 믿고 투자하고 있는 게 바로 비트코인이에요.


비트코인은 단순한 투기 자산이 아니라, 디지털 시대의 금, 국가와 은행이 통제하지 못하는 자산, 그리고 점점 제도권으로 스며드는 변화의 상징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는 비트코인 하나만 집중해서 투자하고 있어요. 이더리움, 알트코인? 관심 없어요.

비트코인 하나로도 충분히 복잡하고, 깊이 있는 시장이라고 생각하니까요.


국내 거래소 – 익숙하지만 한정적인 선택지

✔ 업비트 (Upbit)

국내 1위, 카카오 계열 두나무 운영

원화 입출금 가능, 사용이 매우 간편

수수료: 0.05% (거래당)

장점: 깔끔한 UI, 보안 우수

단점: 상장된 코인 수는 해외보다 적음


✔ 빗썸 (Bithumb)

업비트와 함께 양대 거래소

수수료: 기본 0.25%, 할인 이벤트 활용 시 낮아짐

장점: 이벤트나 에어드롭 자주 열림

단점: UI가 복잡하고 앱이 무겁게 느껴질 수 있음


✔ 코인원 (Coinone)

깔끔한 UX, 스테이킹 기능 제공

수수료: 0.2% (기본)

비트코인만 거래한다면 충분히 안정적인 선택지


✔ 고팍스 (GOPAX)

보안에 신경 많이 쓰는 거래소

코인베이스와 제휴

수수료: 0.2% (기본)

한국 시장에선 마이너하지만 조용히 찾는 이들이 있음


해외 거래소 – 더 넓은 세상, 더 다양한 옵션

✔ 바이낸스 (Binance)

세계 1위 거래소

수수료: 0.1%, BNB로 수수료 결제 시 25% 할인 가능

비트코인 스팟/선물/적립투자 등 기능 다양

단점: 원화 입금은 불가, 별도 송금 필요


✔ 쿠코인 (KuCoin)

알트코인으로 유명하지만 비트코인 거래도 활발

수수료: 0.1%, 자체 코인(KCS) 사용 시 추가 할인

비트코인 장기보관 시는 지갑 분리 추천


✔ 크라켄 (Kraken)

미국 기반, 보안 신뢰도 매우 높음

수수료: 거래량 따라 0.16~0.26% 수준

인터페이스는 심플하지만 건조함

기관투자자도 많이 이용함


✔ 비트겟 (Bitget)

파생상품 거래에 강함

수수료: 현물 0.1%, 선물 0.02~0.06%

카피트레이딩 가능, 한국어 지원 우수

초보자에겐 조금 복잡할 수 있음


비트코인, 거래소만 잘 골라도 투자 효율이 달라진다

많은 분들이 “그냥 업비트에서 사면 되잖아”라고 말해요.

맞는 말이지만,조금만 시야를 넓히면 수수료가 절반 이하인 거래소, 더 다양한 기능과 혜택이 있는 곳, 더 빠르고 유연한 투자 환경이 있다는 걸 알게 돼요.


특히 비트코인 하나만 집중해서 투자하는 사람이라면, 굳이 0.2%씩 수수료를 내며 국내에서만 매매할 이유가 없어요. 해외 거래소에 익숙해지면 훨씬 넓은 무대에서 싸울 수 있습니다.


다른 코인? 전혀 관심 없어요. 비트코인 하나면 충분해요. 이건 제 투자 기준이에요. 비트코인은 시장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았고,정책 리스크를 가장 적게 받으며, 무엇보다 “탈중앙화된 희소 자산”이라는 정체성이 명확하죠. 이더리움도 좋고, 알트코인도 유행하지만제 투자 철학은 "확신 없는 자산에 돈을 넣지 않는다"예요. 그래서 비트코인 하나만 오래, 꾸준히, 쌓아가고 있습니다.


✍️ 결론은 이거예요

비트코인은 단순한 투자를 넘어

자산의 새로운 형태로 자리 잡고 있어요.

그만큼 거래소 선택도 중요해요.

국내 거래소는 익숙하지만, 수수료와 기능에서 한계가 있고

해외 거래소는 조금만 익히면 확실히 유리한 선택지가 될 수 있어요.


비트코인 하나에 집중한다면,거래소만 잘 골라도 투자 효율은 확연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늘도 도움되 되셨길 바라며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댓글 쓰기

다음 이전